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홍역 원인

     

    홍역은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에 의해 호흡기가 감염되는 질병으로, 특징적인 발진을 동반하는 질환입니다. 홍역은 일반적으로 1~2세에 감염되는데, 고열과 전신에 급성 발진의 증상이 나타나는 급성 전염병입니다. 홍역은 홍역에 걸린 환자와의 직접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호흡기계를 통한 비말 감염도 있고, 오염된 물건에 의해 감염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염, 폐렴 합병증 등 2차 감염이 생기기도 합니다. 홍역은 주로 비말을 통해 전파되며, 감염력이 매우 높습니다. 잠복기는 10~14일이며, 발진이 생긴 후 증상 발현 1~2일 전부터 증상 후 4일까지 감염력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법정감염병의 제2급감염병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홍역 증상

     

    홍역 바이러스는 감염 후 잠복기가 약 10~14일 정도입니다. 홍역에 감염되면 고열, 전신 무력감, 비충혈, 재채기, 비염, 결막염, 기침, 눈부심 등의 전구 증상이 3~4일간 계속됩니다. 전구 증상의 초기에 일과성인 반점 또는 두드러기 모양의 발진이 발생합니다. 전구기에는 가장 특징적인 홍역 특유의 코플릭 반점이 발생하며 가려움증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임상 경과와 발진의 양상이 홍역의 증상입니다.

    ① 발열 : 열이 계단식으로 올라서 5~6일째에 40.5°C까지 이르게 됩니다.
    ② 발병 후 1일째 : 증상 발현 24시간 내에 기침, 코감기, 결막염이 시작됩니다.
    ③ 발병 후 2일째 : 구강 점막에 작고 비전형적이면서 중심부가 흰색을 띄는 붉은 반점이 나타납니다. 이 반점을 코플릭 반점이라고 합니다. 코플릭 반점은 구인두까지 확대됩니다. 발진이 나타난 뒤에 반점은 사라지게 됩니다.
    ④ 발병 후 3~5일째 : 피부 발진이 생깁니다. 반형 홍반양 구진이 앞이마와 상부 경부로부터 얼굴, 몸통, 사지로 확산됩니다. 코플릭 반점은 사라지게 됩니다. 피부 발진은 3일간 지속된 뒤 소실되기 시작하고, 발열은 감소하게 됩니다.

     

    치료 방법

     

    ① 대증 요법이 주된 치료법입니다.
    ② 전염은 발진이 생기기 5일 전부터 발진이 생긴 후 4일까지 생길 수 있으며 환자에게 발열이 있으면서 호흡기 증상이 있을 때 가장 전염력이 높습니다.
    ③ 감염 후 획득된 면역력은 평생 지속됩니다.
    ④ 홍역에 노출된 지 5~6일 안에 Human immune globulin를 투여함으로써 예방하거나 이환 양상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⑤ 노출 후 72시간 안에 생백신을 주사하는 것은 홍역을 예방하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반응형